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칠장사 연혁


    경기도 천년 고찰 칠장사 (칠장사 역사)

    칠장사는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칠현산 밑에 자리 잡고 있으며 서기 636년 신라 선덕여왕 5년에 고승 자장율사가 창건 하고 고려 1014년(헌종5년)에 혜소국사에 의해 크게 중수된 것으로 경기도 최고(最古) 고찰로서 많은 유적과 역사적인 일화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서기 1308년(고려충렬왕 34년)

    국사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홍제관이 세워지면서 사찰을 크게 중창하였으며 서기 1383년(우왕9년)에는 왜구의 침입으로 충주 개천사에 있는 고려역조실록을 이 곳으로 옮겨 보관하다가1389년 다시 개천사로 복장하였다(동국여지승람에 기록)하는데 지금은 흔적도 찾을 수 없으며 또한 칠장사도 이때 병화로 건물이 소전되다.

    서기 1506년 (조선중종원년)

    흥정대사에 의해 삼창이 되어 경기도에서 몇 안되는 큰 사찰이 되었으나 임진왜란을 맞아 병화로 건물이 대부분 소실되었다고 전한다. 또한 명종(서기 1560년경)때에 생불로 추앙받던 병해대사는 칠장사에서 주석하다가 입적하였는데 유명한 임꺽정의 스승이기도 했으며 그때 임꺽정은 스승을 위해 목불을 조성하였는데 지금까지 보전되고 있다.

    1623년(인종즉위)

    인목대비는 광해군에 의해 희생된 자기의 아버지 김제남과 영창대군을 위해 칠장사를 원당으로 삼고 크게 중수하였으며, 오불부회괘불(국보 296호), 친필 금광명최승왕경 10권, 친필족자(유형문화재 34호)을 하사하여 지금도 전한다.

    1660년(현종원년)

    벽응대사의 비와 9층사리탑이 건립되었으며, 1671년에는 칠장사 향화사적비를 세웠다. 조선중기 이후에는 사세가 약해져 1674년(현종15년)에는 당시의 세도가들에 의해 건물이 불타고 사찰이 피폐하게 되었다.

    1703년(숙종29년)

    탄명스님이 비전 개울옆 바위위에 나한전을 짓고 또 돌아가신 자신의 모친을 위해 삼불회괘불(보물 1256호)을 조성하여 명복을 빌었다. 이런 연유로 칠장사는 2점의 괘불을 보관하는 유일한 사찰이 되었다. 이듬해에는 당시 주지였던 석규스님과 대중스님들이 힘을 모아 옛절터를 되찾아 법당, 응향각, 진여문, 청련당, 심검당, 적묵당, 서별당, 향적전, 태청루, 백련암등을 짓고 새로 지은 건물이 56동이나 되는 대작 4창불사로 사찰의 면모를 갖추었다.

    이어서 1725년(영조원년)

    선진, 두한스님이 원통전을 짓고 이듬해에는 윤영, 처휘스님이 원통전에 관음보살상을 조성하고 사간스님은 명부전을 짓고 지장보살상과 시왕상을 모셨으며 천왕문과 해탈문을 건립하고 또 절 북쪽에 미타전과 벽응대사 진영당을 세웠다. 진영당 앞에는 정두경이 지은 비명과 9층사리탑, 제월당사리부도탑, 흥정대사부도탑이 있었는데 현재 9층사리탑은 망실되었다.

    그 뒤에 1736년(영조12년)

    설영, 도정스님이 법당과 천왕문을 중수했고, 1751년에는 유선대사가 명적암을 창건했으며 암자 아래에 탄명스님이 53불상과 53불명호비를 조성했는데 지금은 53불명호비만 남아있어 칠장사에 옮겨 세웠다.

    나한전 바로 뒤에 있는 노송은 646년 전에 나옹왕사께서 심으신 소나무로 이름이 나옹송이며 지금은 경기도보호수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Copyright © anseong101.com All rights reserved.